광고
로고

안성시, 싱크홀 예방을 위한 지하 인프라 관리 총력

이현준기자 | 기사입력 2025/06/09 [12:10]

안성시, 싱크홀 예방을 위한 지하 인프라 관리 총력

이현준기자 | 입력 : 2025/06/09 [12:10]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안성 이현준기자] 안성시는 지하 기반시설인 상·하수도 전반에 걸쳐 체계적인 점검·개선·예방 시스템을 다방면으로 운영해오고 있다.

 

상수도 분야는 지반침하의 한 원인인 상수도 유수율 제고를 위하여 2023년부터 노후 상수도관 교체 사업 및 스마트 관망관리 사업을 본격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스마트 계량기 도입 시범사업을 통해 누수 역류 등의 이상징후를 실시간 감지하고 있다. 2023년부터 상수관로 총 44km에 대하여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상수도 대행업체를 선정 운영하여 응급사항에 즉시 대처하고 있다.

 

하수도 분야는 도심지 침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쉬운 분야이다. 안성시는 매년 하수관로에 대한 정기적인 CCTV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2022년부터 하수관로 총 129km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병행하여 보이지 않는 하부 구조까지 철저히 진단하고 발견된 공동에 대해서는 굴착, 비굴착 공법을 통해 보수보강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안성처리구역 내 노후 하수관로(3.06km)에 대하여 사업비 56억을 투입하여 지난 2025년 1월 정비를 완료한 바 있다.

 

아울러, 하수도 관련 신속한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공하수도시설 운영사 및 소파보수 2개 업체를 선정하여 24시간 비상연락망을 구축하여 응급사항에 즉각 대처하고 있다.

 

최근 싱크홀이 발생했던 사항도 공동주택 조성 시 맨홀뚜껑 마감 미흡으로 인한 토사 유실이 주원인으로 확인됐다. 시는 신고 즉시 출동하여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통행금지 등 안전조치를 시행하고, 당일 야간 우오수관로 CCTV 촬영을 통해 사고 원인을 조사하였고 주민불편 해소를 위해 신속하게 복구를 완료했다.

 

한 주민은󰡒단지에 작은 구멍이 생겨 시에 신고하였는데 즉각적인 조치와 신속한 대처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시 관계자는 “지하 기반시설은 시민의 일상과 가장 밀접하지만 가장 쉽게 놓치기 쉬운 분야로 사고 발생 전 예방을 핵심 원칙으로 삼아 지하 안전망을 더욱 견고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와 같은 사유시설은 소유자 또는 관리자가 직접 관리하여야 함을 인지하고 지하시설물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한편, 시는 지난 5월 13일 지반침하 대비 긴급 특별안전대책 회의를 지하시설물 관련부서와 유관기관과 함께 개최하였으며, 2025년 하반기 국도비를 지원받아 주거 밀집지역과 통행량이 많은 주요 도로를 중심으로 총 100km 구간에 대하여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추가 조사할 계획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Anseong Reporter Lee Hyeon-jun] Anseong City has been operating a systematic inspection, improvement, and prevention system in various ways for the entire water supply and sewage system, which is an underground infrastructure.

 

In the water supply sector,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supply rate,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ground subsidence, the old water pipe replacement project and the smart water management project are being fully promoted from 2023. In addition, abnormal signs such as leakage and backflow are being detected in real time through a pilot project for introducing smart meters. Since 2023,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surveys have been conducted periodically for a total of 44 km of water pipes, and water supply agencies have been selected and operated to respond immediately to emergencies.

 

The sewage sector is a sector that can easily become a direct cause of urban subsidence. Anseong City conducts regular CCTV surveys of sewage pipes every year.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starting in 2022,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exploration will be conducted periodically for a total of 129 km of sewage pipes to thoroughly diagnose the invisible substructure, and repair and reinforcement will be carried out through excavation and non-excavation methods for any cavities discovered. In addition, KRW 5.6 billion was invested in the aging sewage pipes (3.06 km) in the Anseong treatment area, and maintenance was completed in January 2025.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prompt civil complaint services related to sewage, a 24-hour emergency contact network was established by selecting a public sewage facility operator and two Sopa maintenance companies to immediately respond to emergenc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ent sinkhole occurrence was mainly caused by soil loss due to insufficient manhole cover finish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The city immediately responded to the report and implemented safety measures such as a curfew to prevent secondary damage. The cause of the accident was investigated through CCTV footage of the sewage pipes that night, and restoration work was quickly completed to resolve inconvenience to residents. A resident said, “I reported a small hole in my apartment to the city, and we were able to prevent damage with immediate action and swift response.”

 

In addition, a city official said, “Underground infrastructure is the area most closely related to citizens’ daily lives, but it is the area that is most easily overlooked. We will strengthen the underground safety net by focusing on prevention before an accident occurs as a core principle.” He also acknowledged that private facilitie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should be directly managed by the owner or manager, and requested thorough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Meanwhile, the city held an emergency special safety measure meeting on ground subsidence with departments related to underground facil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on May 13, and plans to additionally conduct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surveys on a total of 100 km of residential areas and major roads with high traffic volume with support from the national road fund in the second half of 2025.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