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광명시,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 후보지 현장심사 완료

이현준기자 | 기사입력 2025/03/21 [15:26]

광명시,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 후보지 현장심사 완료

이현준기자 | 입력 : 2025/03/21 [15:26]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광명 이현준기자] 광명시가 학온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 후보지 선정 공모’ 2차 현장심사를 21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사는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의 전문가 6명이 평가위원으로 참석해, 광명시흥 3기 신도시 내 대상지 현장 영상 시청, 1차 서류심사 시 평가위원들의 질의에 대한 조치 사항 발표,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해외 기업과 인재 유치를 위한 글로벌 혁신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필요하다”며 “광명시흥 3기 신도시를 발판으로 광명시가 글로벌 경제중심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행정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자유구역 심사는 3차 최종 심사를 거쳐, 오는 4월 중 최종 발표될 예정이다.

 

광명시 지정 신청 대상지는 광명시흥 3기 신도시 내 자족시설용지 일부로, 규모는 74.9만㎡이다. 시는 대상지 중앙부를 인공지능·미래차 연구개발 집적지로, 남부는 문화·바이오 집적지로 개발해 ‘대한민국 핵심 지식집약산업 연구개발(R&D)의 메카’로 조성할 계획이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개발 사업시행자에 대한 조세·부담금 감면과 국내외 투자기업에 대한 세제·자금 지원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되고 다양한 규제 완화로 이어져 국내외 기업의 투자유치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시 순수 지식집약산업 종사자 8만 8천여 명의고용과 연간 4조 4천393억 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중 10%인 4천439억 원이 광명과 시흥 내에서 유통될 경우, 연간 8천876억 원의 부가가치가 지역 경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분석에 따르면 비용편익(B/C) 비율은 1.24로 충분한 경제성을 갖추고 있다.

 

광명시흥 지구는 수도권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이면서 서울과 가장 인접한 지역으로, 주택 6만 7천 호 공급이 계획되어 있어 충분한 배후 인구와 주거시설을 확보했다.

 

아울러 현대자동차와 함께 미래모빌리티 특화 도시계획을 수립해, 미래도시 인프라와 함께 인공지능, 미래차 산업의 테스트베드 도시로서 강점을 가지고있다. 광명시흥테크노밸리 등 고도의 제조업 생태계와 연계하여 연구개발을 근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것도 큰 강점이다.

 

도심공항터미널을 보유한 KTX 광명역을 활용해 외국 기업의 국내 연구개발 및 본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안산선, 월곶판교선, 수색-광명 고속철도등 추가 철도노선이 확보돼 글로벌 비즈니스 요충지로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Southern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Gwangmyeong City announced that it completed the second on-site evaluation of the ‘Gyeonggi Free Economic Zone Additional Designation Candidate Site Selection Competition’ held at the Hakon-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on the 21st.

 

This evaluation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viewing the on-site video of the target site in the Gwangmyeong-Siheung 3rd New Town, announcement of measures to be taken in response to the questions of the evaluation committee during the first document review, and Q&A.

 

Gwangmyeong Mayor Park Seung-won said, “In order to create a global innovation environment for attracting overseas companies and talent, the designation of a free economic zone is necessary,” and “We will focus our administrative capabilities so that Gwangmyeong City can become a global economic hub city based on the Gwangmyeong-Siheung 3rd New Town.”

 

The free economic zone evaluation will undergo the third final evaluation and the final announcement will be made in April.

 

The area designated as a Gwangmyeong-si designated area is part of the self-sufficient facility site in the 3rd Gwangmyeong-Siheung New Town, with an area of ​​749,000 m2. The city plans to develop the central area in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uture car research and development cluster and the southern area into a cultural and bio cluster, creating a “Mecca for R&D of the Republic of Korea’s core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If designated as a free economic zone, incentives such as tax and burden reductions for developers and tax and financial support for domestic and foreign investment companies will be provided, and various deregulations are expected to lead to active investment attraction by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he city expects that if designated as a free economic zone, it will create 88,000 pure knowledge-intensive industry workers and KRW 4.4393 trillion in added value per year. If KRW 443.9 billion, or 10% of this, is circulated within Gwangmyeong and Siheung, it is expected that KRW 887.6 billion in added value per year will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Group, the cost-benefit (B/C) ratio is 1.24, which means it has sufficient economic feasibility.

 

The Gwangmyeong-Siheung district is the largest of the three new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s the closest to Seoul, and it has secured sufficient population and housing facilities with a planned supply of 67,000 housing units.

 

In addition, it has established a future mobility-specialized city plan with Hyundai Motor Company, and has strengths as a testbed cit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uture car industries along with future city infrastructure. Another great strength is that it can con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at close range by linking with advanced manufacturing ecosystems such as Gwangmyeong-Siheung Techno Valley.

 

It can perform domestic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headquarters functions of foreign companies by utilizing KTX Gwangmyeong Station, which has a downtown airport terminal, and it has the conditions as a global business hub with additional railway lines such as the Shin Ansan Line, Wolgot-Pangyo Line, and Susuk-Gwangmyeong high-speed railway.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