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광명시, 건축설계사무소 유엔스튜디오와 서남부 자족도시로 발전 방향 구상

이현준기자 | 기사입력 2025/03/21 [10:37]

광명시, 건축설계사무소 유엔스튜디오와 서남부 자족도시로 발전 방향 구상

이현준기자 | 입력 : 2025/03/21 [10:37]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광명 이현준기자] 광명시가 세계적인 건축설계사무소 유엔스튜디오(UNStudio)와 함께 수도권 서남부 자족도시로 발전 방향을 구상했다.

 

시는 지난 20일 인생플러스센터 플러스강당에서 광명시흥 3기 신도시 개발을 위한 도시디자인 회의를 열고 미래산업도시, 탄소저감도시, 융복합도시라는 신도시 개발 목표에 부합하는 도시공간계획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벤 판 베르켈 유엔스튜디오 대표 건축가를 비롯한 유엔스튜디오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이뤄졌다. 2023년 벤 판 베르켈 대표 건축가가 KTX광명역세권 등 광명시 도시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방문한 후, 광명시흥 3기 신도시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 중인 현재 광명에 도시 설계 구상을 제안하고자 재방문한 것이다.

 

유엔스튜디오(UNStudio)는 1988년 벤 판 베르켈과 캐롤라인 보스가 설립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사를 두고 건축, 인테리어 건축, 제품 디자인, 도시개발과 인프라 프로젝트를 전문으로 하는 국제 네트워크다. 대표 작품으로 독일의 메르세데스-벤츠 박물관, 네덜란드의 아른헴 센트럴역 등이 있으며, 국내 한남4구역 재건축 설계자로 참여하고 서울링, 충남아트센터 등 다수의 국내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날 광명시는 광명시흥 3기 신도시 개발 추진 방향을 발표하고, 유엔스튜디오는 신도시 개발에 도움이 될 선진 도시 사례를 공유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는 광명시흥 3기 신도시를 수도권 서남부 자족도시로 성장시키기 위한 개발을 앞두고 있어 도시 설계가 매우 중요한 시기”라며 “일자리·문화·교육을 멀지 않은 곳에서 누릴 수 있는 집약형 자족도시로 조성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일자리가 풍부해지도록 미래 신산업 기업을 유치해야 하고, 광명시와 시흥시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로 남북으로 단절된 문제도 도시 설계 시 개선해야 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벤 판 베르켈 대표 건축가는 선진 도시 사례를 공유하며, “광명시는 경제중심도시를 넘어 녹색도시, 탄소저감도시 등 명확한 비전을 갖고 있어 지속가능한 혁신 도시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단절된 공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철도, 도로 등 물리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신설될 역사 등의 핵심 시설 주변에 쉴 수 있고, 일할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해야 한다”며 “특히 남북으로 연결된 목감천을 활용한 특화 공간 조성 계획이 인상 깊었다”고 덧붙였다.

 

광명시는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수도권 서남부 자족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도시 설계가 반영될 수 있도록 사업시행자 등 관계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Gwangmyeong City has planned a development direction for a self-sufficient cit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metropolitan area with the world-renowned architectural design firm UNStudio.

 

On the 20th, the city held an urban design meet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3rd Gwangmyeong-Siheung New City at the Plus Auditorium of the Life Plus Center and discussed the direction of urban space planning that matches the new city development goals of a future industrial city, a carbon-reducing city, and a convergence city.

 

This meeting was held with a visit from UNStudio officials including Ben van Berkel, the head architect of UNStudio. After Ben van Berkel visited Gwangmyeong City in 2023 with interest in the urban development of the KTX Gwangmyeong Station area, he revisited Gwangmyeong to propose an urban design concept while the 3rd Gwangmyeong-Siheung New City development is in full swing.

 

UNStudio, founded in 1988 by Ben van Berkel and Caroline Bos and headquartered in Amsterdam, the Netherlands, is an international network specializing in architecture, interior architecture, product design, urban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projects. Its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the Mercedes-Benz Museum in Germany and Arnhem Central Station in the Netherlands. It also participated as a designer for the reconstruction of Hannam District 4 in Korea and participated in numerous domestic projects such as Seoul Ring and Chungnam Arts Center.

 

On this day, Gwangmyeong City announce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3rd Gwangmyeong-Siheung New City, and UNStudio shared advanced urban cases that will help in the development of the new city.

 

Gwangmyeong Mayor Park Seung-won said, “Gwangmyeong City is about to develop the 3rd Gwangmyeong-Siheung New City into a self-sufficient cit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metropolitan area, so urban design is very important,” and added, “We want to create an intensive self-sufficient city where jobs, culture, and education can be enjoyed in close proximity.”

 

He continued, “Therefore, we must work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is,” and explained, “We must attract future new industry companies to create more jobs, and the problem of the north-south separation by the highway that runs through Gwangmyeong and Siheung is also an area that needs to be improved in urban design.”

 

In response, Ben Van Berkel, the chief architect, shared examples of advanced cities and said, “Gwangmyeong has a clear vision of going beyond an economic center to a green city and a carbon-reduction city, and will develop into a sustainable, innovative city.”

 

He also added, “In order to overcome the disconnected space, we must consider not only physical connections such as railways and roads, but also spaces where people can rest, work, and enjoy themselves around key facilities such as the new station.” He added, “In particular, the plan to create specialized spaces utilizing the Mokgamcheon Stream that connects the north and south was impressive.”

 

Based on this discussion, Gwangmyeong plans to actively consult with relevant organizations, including the project implementer, so that the urban design for its transformation into a self-sufficient cit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metropolitan area can be reflected.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