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화성특례시, (가칭)화성시근대음악전시관 공공갈등조정협의회 합의 성공

이현준기자 | 기사입력 2025/03/13 [10:40]

화성특례시, (가칭)화성시근대음악전시관 공공갈등조정협의회 합의 성공

이현준기자 | 입력 : 2025/03/13 [10:40]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화성 이현준기자] 화성특례시의 적극행정으로 수년간 답보 상태에 놓였던 ‘(가칭)화성시근대음악전시관 건립’ 사업에 물꼬가 트일 전망이다.

 

시는 지난 7일 열린 공공갈등조정협의회에서 갈등전문가 및 이해당사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A급 갈등 사안이었던 ‘(가칭)화성시근대음악전시관 건립’과 관련한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협의회에는 갈등전문가인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센터 김학린, 김강민 교수를 비롯해, 이해관계자 대표인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이호헌 광복회 경기도지부 화성시지회 운영실장, 이영구 (가칭)근대음악전시관 사업추진위원회 사무국장, 이번영 (전)남양읍 주민자치회장 및 화성시 관계자 등 총 10명이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가칭)화성시근대음악전시관을 문화예술공간으로 조성하고, 전시 공간에 예술가들의 공적과 과오를 객관적으로 표기해 후손들을 교육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홍난파 생가에 홍난파의 업적과 친일 행적을 명확하게 알리는 안내판을 설치하고, 문화예술공간 전시실 내에도 홍난파와 관련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 홍난파의 업적과 친일 행적을 명확히 표기하기로 약속했다.

 

(가칭)화성시근대음악전시관은 남양읍 홍난파길 32 일원 48,364㎡ 부지에 1986년 홍난파 생가 복원 사업을 시작으로 ‘고향의 봄 꽃동산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나, 홍난파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이라는 비판과 시민단체의 ‘친일인물 선양사업’ 반대로 사업 추진이 보류됐다.

 

이에 시는 공공갈등 문제 해결을 위해 2023년 공공갈등 전문가 컨설팅과 2024년 공공 갈등 영향분석 연구를 진행해 대응 방안을 적극 모색한 데 이어, 지난해 11월에는 이해관계자, 갈등전문가, 공무원으로 구성된 ‘(가칭)화성시 공공갈등조정협의회’를 본격 가동했다.

 

이번 합의는 화성시가 문제 해결을 위해 이해관계자 등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두 차례에 걸친 공공갈등조정협의회 합의를 통해 이끌어낸 적극행정의 결과물이다.

 

특히, 이번 사례는 공공갈등 사안을 ‘공공갈등조정협의회’에서 공식적으로 다루면서, 정책 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갈등 조정과 합의를 이끌어낸 모범사례로 평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이번 합의를 바탕으로 향후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서로를 이해하고 양보하는 마음으로 모두를 위한 해결책을 찾은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합의된 시민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주민들을 위한 문화예술공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Hwaseong Lee Hyun-jun] The project to build the (tentatively named) Hwaseong Modern Music Exhibition Hall, which had been at a standstill for several years, is expected to gain momentum thanks to the proactive administration of Hwaseong Special City.

 

The city announced on the 13th that it had reached an agreement on the (tentatively named) Hwaseong Modern Music Exhibition Hall, which was a Class A conflict issue, at the Public Conflict Resolution Council held on the 7th, attended by conflict experts and stakeholders.

 

A total of 10 people attended the council that day, including conflict experts Kim Hak-rin and Professor Kim Kang-min of the Dankook University Dispute Resolution Center, as well as stakeholders including Bang Hak-jin, the Planning Director of the Institute for National Issues, Lee Ho-heon, the Operations Director of the Hwaseong Branch of the Gyeonggi-do Branch of the Liberation Association, Lee Yeong-gu,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tentatively named) Modern Music Exhibition Hall Project Promotion Committee, Lee Yeong-yeong, (former) Namyang-eup Resident Autonomy Association President, and Hwaseong City officials.

 

On this day, the attendees agreed to establish the (tentative name) Hwaseong Modern Music Exhibition Hall as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and to use the exhibition space to objectively display the achievements and errors of artists and educate future generations.

 

In addition, they promised to install a signboard at Hong Nan-pa’s birthplace that clearly indicates his achievements and pro-Japanese activities, and to create a separate space related to Hong Nan-pa in the exhibition hall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space to clearly display his achievements and pro-Japanese activities.

 

The (tentative name) Hwaseong Modern Music Exhibition Hall was promoted as part of the ‘Hometown Spring Flower Garden Creation Project’ starting with the restoration project of Hong Nan-pa’s birthplace in 1986 on a 48,364㎡ site at 32 Hong Nan-pa-gil, Namyang-eup. However, the project was put on hold due to criticism that Hong Nan-pa was listed in the Dictionary of Pro-Japanese Figures and opposition from civic groups to the ‘Promotion of Pro-Japanese Figures Project’.

 

Accordingly, the city actively sought response measures by conducting public conflict expert consulting in 2023 and public conflict impact analysis research in 2024 to resolve public conflict issues, and in November of last year, it launched the ‘(tentative name) Hwaseong City Public Conflict Mediation Council’ consisting of stakeholders, conflict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This agreement is the result of Hwaseong City’s proactive administration that led to two public conflict mediation council agreements while continuously communicating with stakeholders to resolve the issue.

 

In particular, this case is expected to be evaluated as an exemplary case of transparently disclosing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and leading to conflict mediation and agreement while officially handling public conflict issues at the ‘Public Conflict Mediation Council’.

 

Based on this agreement, the city plans to prepare specific business plans in the future.

 

Hwaseong Special City Mayor Jeong Myeong-geun said, “It is very meaningful that we found a solution for everyone with a mind of understanding and compromise,” and “We will do our best to create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for residents based on the opinions of citizens that have been agreed upon.”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