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광명시, '광명미래도시위원회 자문회의’ 개최

이현준기자 | 기사입력 2025/03/13 [09:36]

광명시, '광명미래도시위원회 자문회의’ 개최

이현준기자 | 입력 : 2025/03/13 [09:36]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광명 이현준기자] 광명시가 광명시흥 3기 신도시를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13일 ‘광명미래도시위원회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광명미래도시위원회는 박승원 광명시장이 위원장으로, 도시계획, 교통, 도로, 상·하수도, 환경, 스마트도시 등 관련분야 전문가 17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이다. 자족형 명품도시로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2022년 12월 출범했다.

 

이날 박승원 광명시장을 비롯한 시 관계자와 광명미래도시위원회 위원, 강신정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역협력관 등 20여 명이 참석해, 지난해 12월 30일 승인된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지구계획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향후 지구계획 1차 변경에 대비한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경제중심도시, 녹색도시, 탄탄한 SOC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 주거환경 조성 등 시민이 바라는 미래 100년을 준비하기 위한 시의 핵심 요구사항이 계획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방안을 논의했다.

 

주요 현안은 공공시설, 신도시 특화, 자족, 토지이용, 도로·교통, 환경 등 6개 분야였다.

 

신도시 내 공공시설 용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충분한 공공시설을 확보하고, 글로벌 문화수도·스마트도시 실현을 위한 신도시 특화 기반을 마련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목감천 수변공간과 목감천 저류지를 활용한 공원 조성 특화 방안도 검토했다.

 

아울러 파크스퀘어, 어반스퀘어, 커뮤니티스퀘어, 연구·개발 복합시설(R&D COMPLEX) 등 4개의 특별계획구역을 고밀·복합 개발해 자족용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GTX-D, 남북철도 등 철도계획과 연계한 장래 교통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대응책을 검토했다.

 

더불어,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을 위한 탄소저감 방안을 마련하고, 친환경 미래 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방향성을 공유했다.

 

박 시장은 “광명시흥 신도시는 광명시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중요한 개발사업으로, 모든 세대가 어우러져 주거와 직장, 즐거움이 공존하는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어야 한다”며 “신도시 특화와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이다”고 말했다.

 

시는 이날 나온 의견에 전문가 검토와 자문을 바탕으로 시 요구사항이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사업시행자 등 관계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신도시 입주민의 불편이 없도록 입주 시기에 맞춰 공공시설, 기반 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광명시흥 3기 신도시는 광명시와 시흥시 일원 1천271만 4천㎡(384만 평)에 6만 7천 호의 주택을 공급하는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 사업지로, 2025년 보상 공고, 2027년 택지조성 착공, 2031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Break News Gyeonggi Nambu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Gwangmyeong City held the 'Gwangmyeong Future City Committee Advisory Meeting' on the 13th to successfully develop the Gwangmyeong Siheung 3rd New City.

 

The Gwangmyeong Future City Committee is a committee composed of 17 experts in related fields such as urban planning, transportation, roads, water and sewage, environment, and smart cities, chaired by Gwangmyeong Mayor Park Seung-won. It was launched in December 2022 to prepare for the transition to a self-sufficient luxury city.

 

On this day, about 20 people, including Gwangmyeong Mayor Park Seung-won, city officials, Gwangmyeong Future City Committee members, and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Regional Cooperation Officer Kang Shin-jeong, attended the meeting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Gwangmyeong Siheung Public Housing District District Plan approved on December 30 last year and discuss key issues in preparation for the first change to the district plan in the future.

 

We discussed ways to ensure that the city’s core requirements for preparing for the next 100 years, such as creating an economic hub city, a green city, and a s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a solid SOC, are properly reflected in the plan.

 

The main issues were six areas: public facilities, new city specialization, self-sufficiency, land use, roads and transportation, and the environment.

 

We discussed ways to secure sufficient public facilities by efficiently utilizing public facility sites in new cities and to establish a new city specialization foundation for realizing a global cultural capital and smart city. We also reviewed ways to create parks using the Mokgamcheon waterfront space and Mokgamcheon retention basin.

 

In addition, we deeply discussed ways to efficiently utilize self-sufficiency sites by developing four special planning areas, including Park Square, Urban Square, Community Square,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lex (R&D COMPLEX), in a high-density and complex manner, and reviewed countermeasures to establish future transportation plans linked to railway plans such as GTX-D and the South-North Railway.

 

In addition, they prepared a plan to reduce carbon emissions for the creation of a sustainable city and shared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into an eco-friendly future city.

 

Mayor Park said, “Gwangmyeong-Siheung New City is an important development project to prepare for the next 100 years of Gwangmyeong City. It should be a livable city where all generations can come together and enjoy housing, work, and fun.” He added, “It is time to prepare specific plans for new city specialization and efficient land use.”

 

The city plans to actively consult with relevant organizations, including the project implementer, to ensure that the city’s requirements are reflected as much as possible based on expert review and advice on the opinions presented that day.

 

In addition, they plan to prepare without a hitch so that public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can be installed in time for the move-in period so that new city residents do not experience any inconvenience.

 

Meanwhile, the Gwangmyeong-Siheung 3rd New Town is the largest project among the 3rd new towns, supplying 67,000 housing units on 12,714,000㎡ (3,840,000 pyeong) in Gwangmyeong and Siheung cities. It is currently being promoted with the goal of issuing compensation notice in 2025, starting land development in 2027, and completing construction in 2031.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