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화성 이현준기자] 화성특례시가 미취업 신중년에 사회 참여 및 재취업 준비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2025년 신중년 재도약 희망사업’을 운영한다.
신중년 재도약 희망사업은 45세 이상 65세 미만 화성시 거주 미취업 신중년 중 각 세부사업별 자격과 경력을 갖춘 신중년을 대상으로 공공일자리를 제공하는 맞춤형 일자리 사업이다.
모집인원은 상·하반기 별로 각 20명씩 총 40명이며, 상반기 사업은 8개 부서, 9개 세부사업, 20명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시는 앞서 지난해 12월 상반기 참여부서를 선정하고 지난달에는 서류·면점심사를 통해 참여자 16명을 선정했다. 이들은 3일부터 6월 30일까지 각 사업부서 및 근무처에서 근무하게 된다.
상반기 세부사업은 ▲지역화폐 마케터사업(지역경제과) ▲공공일자리 참여자대상 일자리컨설팅(사회적경제과) ▲민원실 안전요원(민원봉사과) ▲남양도서관 자료실 운영 및 시립 작은도서관 운영(도서관정책과) ▲어린이 건강체험관 운영(서부보건소 건강증진과) ▲임대농기계 관리(과학농업과) ▲종자종묘산업 활성화(기술보급과) ▲유아숲체험원 및 웃음만발 놀이숲 관리운영(산림휴양과)이다.
하반기 사업 근무기간은 7월 1일부터 11월 28일까지로, 시는 오는 5월 중 하반기 사업 참가부서를 선정하고, 6월에는 사업 참여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이향순 사회적경제과장은 “경력과 자격을 갖춘 미취업 신중년을 대상으로 공공 일자리를 제공해 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며 “치열한 경쟁과 생계 문제의 이중고를 겪는 신중년 세대가 재도약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오는 5일부터 서류심사 불합격 등으로 참여자가 미달된 3개 사업의 참여자 4명을 추가로 모집한다. 대상 사업은 ▲시립 작은도서관 운영 ▲임대농기계 관리 ▲유아숲체험원 및 웃음만발 놀이숲 관리 운영이며, 관련 문의는 사회적경제과 사회적일자리팀으로 하면 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Hwaseong Reporter Lee Hyeon-jun] Hwaseong Special City is operating the ‘2025 New Middle-aged Re-leap Hope Project’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re-employment preparation to unemployed middle-aged people.
The New Middle-aged Re-leap Hope Project is a customized job project that provides public jobs to unemployed middle-aged people who are 45 years old or older and under 65 years old and have qualifications and experience for each sub-project among those residing in Hwaseong City.
The number of recruits is 40 people in total, 20 people each for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year, and the first half of the year project will be operated for 8 departments, 9 sub-projects, and 20 people.
The city previously selected the participating departments in the first half of last year in December, and selected 16 participants through document and interview screening last month. They will work in each business department and workplace from the 3rd to June 30th.
The detailed projects for the first half of the year are ▲Local currency marketer project (Local Economy Division) ▲Job consulting for public job participants (Social Economy Division) ▲Civil service office safety personnel (Civil Service Division) ▲Namyang Library data room operation and municipal small library operation (Library Policy Division) ▲Children's health experience center operation (Western Health Center Health Promotion Division) ▲Rental agricultural machinery management (Scientific Agriculture Division) ▲Vitalization of seed industry (Technology Dissemination Divis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children's forest experience center and laughter-filled play forest (Forestry Recreation Divisio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project work period is from July 1 to November 28, and the city plans to select the departments participating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project in May and recruit project participants in June.
Lee Hyang-soon, head of the Social Economy Division, said, “We want to provide public jobs to unemployed middle-aged people with career and qualifications to expand their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added, “We hope this will be a stepping stone for the middle-aged generation, who are suffering from the double hardships of fierce competition and livelihood issues, to make a comeback.” Meanwhile, the city will recruit four additional participants for three projects that failed the document screening process and others starting on the 5th. The projects are ▲operation of the municipal small library ▲management of rental agricultural machinery ▲management of the children’s forest experience center and the laughter-filled play forest. For inquiries, please contact the Social Economy Division’s Social Job Team.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화성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