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온도·습도 제어, 자동 급수를 조절하는 등 시간과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첨단 농업 시스템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내 취약계층 어르신들에게 사계절 싱싱한 쌈 채소를 제공하여 균형잡힌 식습관을 지원하고 우울감이 있는 어르신 댁내에 설치하여 정서적 지원을 도모하고자 기획됐다.
이에, 우울감이 있는 어르신 10명의 댁내에도 설치하여 집에서도 농작물을 편리하게 재배하고 수확하는 등의 식물을 키우는 즐거움을 제공하여 정서적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복지관에서는 30대의 스마트 팜을 통해 어르신들이 직접 재배하고 수확할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여 어르신들의 사회참여 기회 제공 및 경제적 안정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어르신들의 사회참여 기회 확대와 취약계층 어르신들의 식생활 안정 및 돌봄 안전망을 보다 촘촘하게 구축하는 등 초고령사회 진입과 기후위기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Reporter Lee Hyeon-jun from Yongin) Since May of last year, Yongin City Senior Welfare Center has been operating 40 smart farms utilizing cutting-edge technology.
Smart farms are cutting-edge agricultural systems that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utomatically water crops, allowing crops to be grown without being affected by time or the external environment.
This program was planned to provide fresh vegetables for all four seasons to vulnerable seniors in the community, support balanced eating habits, and provide emotional support by installing them in the homes of depressed seniors.
Accordingly, they have been installed in the homes of 10 depressed seniors, allowing them to conveniently grow and harvest crops at home, contributing to their emotional stability. In addition, the welfare center is creating new jobs where seniors can grow and harvest crops themselves through 30 smart farm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supporting economic stability for seniors.
Through this, it seem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olve soci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 entry into a super-aging society and climate crisis, such a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and establishing a more stable dietary life and care safety net for the elderly in vulnerable group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용인특례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