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일과 10일, 남부청사와 북부청사에서 공연하는 연극 ‘앞바라지’는 경기도연극교육연구회가 제작에 참여했으며 학교에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교육 3주체의 입장에서 각각 생각해 보고, 갈등 해결을 위한 바른 방향을 함께 고민하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연극이다.특히 공연 중간에 화해 중재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복잡한 갈등을 교육적, 평화적으로 해결하면서 관객들에게 가깝게 다가간다.
‘앞바라지’는 아이의 재능과 개성보다 부모의 욕심으로 아이를 키우는 모습을 표현하는 ‘뒷바라지’의 반대 의미를 담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학생과 교원, 학부모 간의 갈등 상황에서 ‘뒷바라지’가 아닌 ‘앞바라지’로 인해 갈등이 생기고 이에 대해 해결방안을 다각적으로 찾는 현장 맞춤형 연극으로 문제 상황에 대해 관객이 의견을 제안하며 극적 상황을 바꿔 나가고, 관객과 배우가 상호 소통하며 교육활동 중 갈등 상황에 대해 고민을 나누고 해결책을 함께 찾아간다.
이를 통해 교육활동 보호 인식 개선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학부모와 교원이 함께 소통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도교육청 이지명 생활인성교육과장은 “함께 하는 연극으로 교육활동 보호 공감대를 형성하고 현장의 갈등을 해결방안을 찾는 데 화해중재단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다”라며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와 학생의 학습권 보호로 학교 교육력 회복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교육활동 보호를 위해 현장 공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번 시즌은 연극 작품으로 만나게 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Suwon Oh Kyung-hee Reporter]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hosting Season 7 of the Education Activity Protection Field Empathy Program, the play ‘Apbaraji’.
The play ‘Apbaraji’, which will be performed at the Southern and Northern Offices on the 9th and 10th, was produc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Theater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It is a play that conveys a message of hope by thinking about episodes that occur at school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three educational stakeholders, thinking about the right direction for conflict resolution, and sharing the message. In particular, a reconciliation mediation expert participates in the middle of the performance to resolve complex conflicts educationally and peacefully, and to get closer to the audience.
‘Apbaraji’ contains the opposite meaning of ‘Dwitbaraji’, which expresses the image of raising a child based on the greed of the parents rather than the child’s talent and individuality.
In a conflict situation betwee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hat occurs at school, conflicts arise due to ‘looking ahead’ rather than ‘looking behind’, and this is a customized play that seeks solutions from various angles. The audience can suggest opinions on the problematic situation and change the dramatic situation, and the audience and acto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hare their thoughts on the conflict situation during the educational activity, and find solutions together.
Through this, we aim to improve awareness of protecting educational activities, build consensu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parents and teachers to communicate together.
Lee Ji-myeong, head of the Life and Character Education Division of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aid, “We can feel the importance of the Reconciliation and Mediation Foundation in building consensus on protecting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plays we do together and finding solutions to conflicts in the field.” He added, “We will work to restore the educational power of schools by protecting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and students’ right to learn.”
Meanwhile,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preparing a field empathy program to protect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is season, we will meet them through a play.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