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이현준기자] 경기도가 세입자 주거 및 생활안정 대책 마련, 자율주택정비사업의 건축규제 완화 특례대상 지정 등 소규모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이 6월 27일 경기도의회 제384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은 도심 내 오래된 소규모 주택의 주거환경을 개선해 주거생활의 질을 향상하는 사업이다.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 또는 가로구역에서 시행된다.
개정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소규모주택정비사업 관리지역 내에서 세입자 보상을 실시할 경우 법적상한용적률 내에서 특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세입자 지원책을 처음 도입했다.
또한 자율주택정비사업 사업시행구역에 반지하주택, 빈집 등을 포함하는 경우 대지의 조경기준, 대지안의 공지기준, 건축물의 높이 제한 기준 등 건축규제 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가로주택정비사업 구역을 최대 1만 3천㎡까지 인정하는 조건을 마련했다.
김태수 경기도 도시재생과장은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한 세입자 이주지원 및 사업성 개선으로 열악한 원도심 내에 소규모주택정비사업 추진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제도개선을 통해 정비사업 현장의 어려움을 풀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Southern = Suwon Reporter Lee Hyeon-jun] Gyeonggi Province has established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activating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including measures to stabilize housing and living conditions for tenants and designating special cases for easing building regulations for autonomous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According to Gyeonggi Province on the 3rd, the ‘Partial Amendment Ordinance on the Gyeonggi Province Ordinance on Maintenance of Vacant Houses and Small-Scale Housing’ containing these contents passed the 4th plenary session of the 384th regular session of the Gyeonggi Provincial Council on June 27.
The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 is a proj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idential life by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old small-scale houses in the city center. It is implemented in areas or street districts where old and poor buildings are densely packed.
Looking at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ion, first of all, a tenant support measure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o allow tenants to receive special cases within the legal maximum floor area ratio when tenant compensation is implemented in the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 management area.
In addition, in cases where the autonomous housing maintenance project implementation area includes semi-basement houses, empty houses, etc., the land landscaping standards, land notice standards, building height restrictions, etc. are relaxed, and conditions are set to recognize the street housing maintenance project area up to 13,000㎡.
Gyeonggi Province Urban Regeneration Division Chief Kim Tae-soo said, “We expect that the small-scale housing maintenance project in the poor downtown area will be accelerated through this ordinance revision to support tenant relocation and improve business feasibility,” and “Gyeonggi Province will continue to resolve difficulties in the maintenance project field through system improvement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