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이현준기자] 경기도가 장기간 방치돼 도시경관을 해치고 인근 주민들의 생활 불편을 초래한 ‘택지지구 내 미매각 용지’ 문제 해결에 직접 나선다.
도는 경기 남부와 북부에 각각 1개소씩 시범사업 대상지를 선정해 스포츠 복합몰과 공동직장어린이집 등 주민 친화형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미매각 용지’란 당초 학교·공공청사·도시지원시설·주차장·종교시설 등으로 계획됐으나 장기간 매각되지 않아 방치된 토지를 말한다. 쓰레기 무단투기, 경관 저해, 치안 사각지대 우려 등으로 입주 완료 주변 아파트 입주민의 생활 불편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
현재 경기도가 관리 대상으로 파악한 미매각 용지는 총 19개 지구 85개소로 약 58만 9천㎡에 달한다. 이 가운데 남부권에는 12개 지구 65개소 39만 7천㎡, 북부권에는 7개 지구에 20개소 19만 2천㎡가 포함됐다. 예를 들어 화성 봉담지구 내 공공청사용지는 2008년 7월 준공 이후 현재까지 매각되지 못한 상태다.
이에 도는 올해 7월 말까지 시와 시행자로부터 시범사업 후보지를 신청받아 8월 중 최종 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후 연말까지 구체적인 사업화 방안을 수립하고, 오는 2026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범사업은 지자체의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관협력, 민간주도, 공공주도 등 다양한 방식을 검토한다. 스포츠 복합몰, 공동직장어린이집 등 주민 친화형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도는 시범사업과 연계해 미매각용지 활성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도 병행 추진한다. 사업화 전략, 우선순위 설정, 주민·시행자·지자체가 함께하는 협의체 구성 및 운영방안 등을 담은 실행계획도 수립한다. 연구용역도 2026년부터 본격 착수한다.
한편 도는 지난 25일 도청에서 관련 실무회의를 열고 사업방향 및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경기도를 비롯해 화성시, 김포시, 오산시, 안성시, 평택시, 이천시, 파주시, 양주시와 LH 경기남부지역본부, 파주‧양주‧평택‧오산동탄 사업본부와 경기연구원 등이 참여했다.
이명선 경기도 택지개발과장은 “그동안 미매각용지 활용은 시와 시행자에 일임돼 그 추진에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는 경기도가 직접 중재자 역할을 하면서 합리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겠다”며 “도내 유휴부지의 가치를 높이고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Suwon Reporter Lee Hyeon-jun] Gyeonggi Province is taking the lead in resolving the issue of ‘unsold land in residential development zones’ that has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damaging the cityscape and causing inconvenience to nearby residents.
The province announced on the 1st that it plans to select one pilot project site each in southern and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develop them into resident-friendly spaces such as sports complex malls and shared workplace daycare centers.
‘Unsold land’ refers to land that was originally planned as a school, public office, urban support facility, parking lot, or religious facility, but has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due to not being sold. There is a high risk of causing inconvenience to residents of nearby apartments that have already moved in due to concerns about illegal dumping of trash, obstruction of the landscape, and blind spots in public safety.
Currently, Gyeonggi Province has identified 85 unsold lands in 19 districts, totaling approximately 589,000㎡. Among these, 65 sites in 12 districts and 397,000㎡ were included in the southern region, and 20 sites in 7 districts and 192,000㎡ were included in the northern region. For example, the public office site in the Hwaseong Bongdam District has not been sold since its completion in July 2008.
Accordingly, the province plans to receive applications for pilot project sites from cities and implementers by the end of July this year and select the final target site in August. After that, it plans to establish a specific business plan by the end of the year and launch a full-scale project starting in 2026.
The pilot project will review various methods such as public-private cooperation, private sector-led, and public sector-led to minimize the financial burden on local governments. It plans to create resident-friendly spaces such as sports complex malls and shared workplace daycare centers.
In addition, the province will also conduct research services in conjunction with the pilot project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y for activating unsold land. An implementation plan will also be established that includes business strategy, priority setting, and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a consultative body involving residents, implementers, and local governments. Research services will also begin in earnest in 2026.
Meanwhile, the province held a related working-level meeting at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on the 25th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business and promotion plan. The meeting was attended by Gyeonggi Province, Hwaseong City, Gimpo City, Osan City, Anseong City, Pyeongtaek City, Icheon City, Paju City, Yangju City, LH Gyeonggi Southern Regional Headquarters, Paju-Yangju-Pyeongtaek-Osan Dongtan Business Headquarters, and Gyeonggi Research Institute.
Lee Myeong-seon, head of the Gyeonggi Province Land Development Division, said, “Until now, the use of unsold land was left to the city and implementers, so there were limits to its promotion. In the future, Gyeonggi Province will act as a mediator and devise a reasonable utilization plan,” and “We will do our best to increase the value of idle land in the province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rovince’s resident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