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하수과에서는 내년에 ▲통진레코파크 증설 ▲통합바이오 가스화시설 설치사업 ▲안정적인 하수처리장 운영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하수관로 정비 ▲ 깨끗한 물환경 관리를 위한 개인하수, 가축분뇨 시설 관리 강화 등을 핵심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김포시는 통진레코파크 증설을 통한 하수처리 능력 향상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증설(2단계 28,000톤, 3단계 20,000톤)은 증가하는 인구와 하수 처리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시민들에게 더욱 깨끗하고 안전한 물환경을 제공하는 데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탄소중립사회 전환이라는 아젠다에 발맞춰, 김포시는 통합바이오 가스화시설 설치사업 추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통진레코파크 내 선제적 부지확보와 부서간 안정적인 협업 등의 노력을 인정받아 2025년 국고보조금 지원사업에 선정되었으며, 2030년까지 단계별 스텝을 밟아나갈 예정이다.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을 통해 폐기물 처리 예산 절감과 전력비 절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김포시는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하여 하수처리장 15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4천8백만 톤의 하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외에도 시는 하수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39억원을 투입하여 노후 하수시설을 정비하여 하수처리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고 방류 수질 개선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하수관로 정비도 꼼꼼히 챙기고 있다. 김포시는 집중호우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우기 전 사업비 27억을 투입하여 대규모 관로 준설공사와 정비 공사를 진행했다. 이와 함께, 하수도 신속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상습 침수 구역을 사전 예찰하고, 특보 발효 시 비상 근무조를 운영, 복구 장비를 지원하는 등 시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에, 김포시는 지난 7월 기록적인 폭우와 잦은 호우에도 침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시는 공공수역 물 환경 보전을 위한 개인하수처리 및 가축분뇨시설 관리 강화에도 나서고 있다. 김포시는 지방하천과 소하천이 핏줄처럼 연결되어 있고, 2만 3천여 개의 개인 하수처리시설에서 오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수처리구역 외 지역은 김포 전체 면적의 무려 86%를 차지한다.
김포시 하수과에서는 대용량시설 및 음식점 등 오염도가 높은 개인 하수처리시설을 중심으로 관리계획을 세우고, 경기도 합동점검(2회 추진)과 여름 휴가철 야영장 오수처리 실태 특별점검 등 주기적인 점검과 적정 설치 유도를 통해 오수로 인한 수질 오염 예방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인허가받은 338개의 가축분뇨배출시설, 가축분뇨 처리시설은 물론 상습 민원 유발시설에 대해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아파트 등 주거지 인근 민원 지역인 통진읍, 하성면 양계장 등 민원에 대하여 악취 포집 등 집중 단속을 실시하여 행정처분과 사법처분을 통해 민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특히 가축분뇨 민원 다발지역, 축사 밀집지역 등 민원처리 대응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2022년부터 가축분뇨 관련 시설 악취 포집 용역을 추진하여 가축분뇨 악취로 고통받는 주민들의 생활환경개선에 힘을 쏟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Gimpo Reporter Lee Hyeon-jun] Gimpo City is spurring the creation of a cleaner and safer water environment by improving and expanding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2025.
Accordingly, the Sewage Division plans to focus on ▲ expanding Tongjin Reco Park ▲ installing an integrated bio-gasification facility ▲ stable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s ▲ improving sewage pipelin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 strengthening the management of private sewage and livestock manure facilities to manage a clean water environment, etc. next year.
First, Gimpo City is focusing on improving sewage treatment capacity through the expansion of Tongjin Reco Park. This expansion (28,000 tons in Phase 2, 20,000 tons in Phase 3) is expected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growing population and demand for sewage treatment, and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citizens with a cleaner and safer water environment.
In addition, in line with the agenda of transitioning to a carbon-neutral society, Gimpo City is also spurring the promotion of an integrated bio-gasification facility installation project. In recognition of efforts such as preemptive land acquisition and stable collaboration between departments in Tongjin Rec Park, it was selected for the 2025 national subsidy support project, and it plans to take steps until 2030. It is expected 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by developing a new energy source using organic waste resources, which is to reduce the budget for waste disposal and electricity costs.
Currently, Gimpo City operates 15 sewage treatment plants to create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and stably treats 48 million tons of sewage annually. In addition, the city is making every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improve discharge water quality by investing 3.9 billion won to improve aging sewage facilities to secure the stability of sewage facilities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city is also meticulously maintaining sewage pip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Gimpo City invested 2.7 billion won in project costs before the rainy season to conduct large-scale pipe dredging and maintenance work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heavy rain. In addition, we are doing our best to minimize damage to citizens by establishing a rapid sewer response system to conduct advance inspections of areas prone to flooding, operating emergency work teams when special reports are issued, and supporting recovery equipment. As a result, Gimpo City was able to minimize flood damage despite record-breaking heavy rain and frequent downpours in July.
In addition, the city is also strengthening the management of private sewage treatment and livestock manure facilities to preserve the water environment of public waters. Gimpo City is structured so that local rivers and small streams are connected like blood vessels, and sewage flows into rivers from approximately 23,000 privat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as outside of these sewage treatment areas account for a whopping 86% of Gimpo’s total area.
The Gimpo City Sewage Division is establishing a management plan centered on large-capacity facilities and restaurants, as well as privat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ith high levels of pollution, and is establishing measures to prevent water pollution caused by sewage through periodic inspections such as the Gyeonggi-do joint inspection (two times) and special inspections of sewage treatment conditions at campsites during the summer vacation season, as well as inducing proper installation.
In addition, it is focusing on managing 338 licensed livestock waste discharge facilities and livestock waste treatment facilities, as well as facilities that habitually cause complaints, and is actively resolving complaints through administrative and judicial actions by conducting intensive crackdowns such as odor capture for complaints near residential areas such as apartments, Tongjin-eup, and Haseong-myeon chicken farms. In particular, in order to present measures to respond to complaints such as areas with a high incidence of livestock waste complaints and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livestock farms, it is promoting odor capture services for livestock waste-related facilities starting in 2022, and is working hard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residents suffering from the odor of livestock waste.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포시 관련기사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