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시흥 이귀선기자] 시흥시(시장 임병택)는 최근 장현천에서 천연기념물 제330호이자 멸종위기종 1급 동물인 수달 세 마리가 목격됐다고 밝혔다.
수달은 야행성 동물로 위협을 감지하는 물속에 숨는 습성을 지녔으며, 대체로 낮에는 서식지에서 휴식한다. 또 황소개구리, 배스 등 외래종을 사냥해 우리 생태계를 지키는 포식자이기도 하다.
현재 배곧, 목감, 장현지구 등 여러 도시개발을 진행 중인 시는 수달의 출현 소식을 무척 반기고 있다. 도시개발로 인해 야생동물 서식지 등 생태계가 변화하는 와중에, 수달의 출현은 건강한 생물서식지를 확보했다는 의미를 시사하기 때문이다.
그간 시는 환경정화 활동을 통해 장현천에 수달이 출현할 수 있다는 점과 생태계를 보존하자는 내용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왔다. 이에 따라 장현천이 시민에게 새롭게 개방된 지 3년이 되기 전에 세 마리의 수달이 목격됨으로써 장현천의 자연 생태계가 개선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시는 사람과 야생동물의 공존과 상생이 필요한 만큼, ‘장현천 생태계 보존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지난 7일에는 50여 명의 명예환경감시원이 시청에서 집결한 뒤 능곡역 시흥 플랑드르까지 장현천(약 1.4km)을 따라 이동하며 환경정화 캠페인 활동을 전개했다.
시는 앞으로도 시민들에게 장현천 수달의 보호 가치에 대해 널리 알리고, 누구든지 멸종위기 야생동물을 포획하는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등 수달 서식지 보호와 위협요인 저감 노력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장현천의 수질이 개선되고 도심 속 자연생태가 살아나면서 수달이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산책 중에 수달을 발견하면 접근이나 접촉을 자제하고, 다친 수달을 발견하면 문화재청 및 시흥시로 신고해달라”라고 당부했다. 이어 “여전히 국가산단에서는 다양한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지역별 도시개발이 지속돼 생태계도 변화하고 있기에, 개발에 따른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지속해서 홍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Southern Gyeonggi = Siheung Reporter Lee Gwi-seon] Siheung City (Mayor Lim Byeong-taek) announced that three otters, Natural Monument No. 330 and a Class 1 endangered species, were recently spotted in Janghyeoncheon.
Otters are nocturnal animals that have the habit of hiding in the water when they sense a threat, and generally rest in their habitat during the day. They are also predators that protect our ecosystem by hunting exotic species such as bullfrogs and bass.
The city, which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everal cities such as Baegot, Mokgam, and Janghyeon districts, is very welcoming of the news of the appearance of otters. While the ecosystem, including wild animal habitats, is changing due to urban development, the appearance of otters suggests that a healthy biological habitat has been secured.
So far, the city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fact that otters can appear in Janghyeoncheon and preserving the ecosystem through environmental cleanup activities. Accordingly, three otters were sighted less than three years after Janghyeoncheon was newly opened to the public, showing that the natural ecosystem of Janghyeoncheon has improved.
The city is actively continuing the ‘Janghyeoncheon Ecosystem Conservation Campaign’ as the coexistence and coexistence of people and wild animals is necessary. On the 7th, about 50 honorary environmental monitors gathered at City Hall and carried out an environmental cleanup campaign by moving along Janghyeoncheon Stream (about 1.4km) from Neunggok Station to Siheung Flanders.
The city will continue to protect otter habitats by widely informing citizens about the protection value of Janghyeoncheon otters and actively promoting that anyone who captures an endangered wild animal can be imprisoned for up to 5 years or fined up to 50 million won. We plan to do our best to reduce threat factors.
A city official said, “It appears that otters have appeared as the water quality of Janghyeon Stream has improved and the natural ecology in the city has revived. “If you come across an otter while walking, please refrain from approaching or touching it, and if you find an injured otter, please report it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Siheung City.” He continued, “Because various pollutants are still emitted from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ecosystem is changing as urban development continues in each region, we plan to continue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following development.”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